사업명 | 내용 | 대상 | 시기 | 비용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상담지도사업 | 일반상담, 초기상담, 재상담, 서비스 지원 계획, 진단 평가, 자립지원계획, 통보서 발송, 서비스 자료 제공 등 | 상담 희망자 | 연중 | - | ||
사례관리사업 | 사례관리 | 사례접수, 사례면접 및 사정, 사례계획, 사례개입, 진전평가, 종결평가, 사후 관리 등을 통해 만성적, 복합적 문제(욕구)가 있고 집중적인 개입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실시 | 사례관리 필요 장애인 | 연중 | - | |
사례관리 자원 | 자원연계 | 사례관리 대상자의 문제 및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내·외부의 다양한 사회자원을 연계(사례의뢰, 기관연계, 검사의뢰, 활동보조지원사업 연계 등) | 사례관리 대상자 | 연중 | - | |
자원관리 | 사례관리를 위해 개발되고 관리되는 인적, 물적 자원에 대해 정기적 방문, 연락 등을 통한 관리 실시 | 연계자원 | 연중 | - | ||
개별 자원목록 | 사례관리 대상자의 다양한 인적, 물적 자원목록을 제작 관리(중복서비스 방지 등) | 사례관리대상자 | 연중 | - | ||
소그룹 외부활동을 통한 지역 내 유대관계 증진 ‘스마일’ | 대인관계에 있어 신체, 정신적 장애로 인해 제약이 있는 지역 장애인에게 외부활동을 지원, 활동 내용을 스스로 계획하고 타인과 함께하는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유대관계를 형성(장애유형 또는 지역별로 그룹 형성) | 지역 서비스 대상자 (사례관리 대상자 등) |
1~12월 연 5회 |
- | ||
사례지원사업 | 연합회의 | 사례관리 사업과 관련한 다양한 지역 회의에 참가하여 사례공유, 기관 사례선정을 통한 외부 서비스(후원금 등) 연계, 유관기관 실무자들과의 사례관리 업무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 회의 실시 | 사하구 지역 유관기관 | 연중 | - | |
권익옹호 | PPRS | 범죄 가·피해 경험이 있는 발달장애인에게 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교육, 상담 등을 지원 | 범죄 가·피해 경험이 있는 발달 장애인 | 연중 | - | |
장애인 권익옹호 | 장애인들의 인권보호와 권익향상을 위해 권리를 지지하고 대변 (법률자문, 동반상담 등) | 사하구 지역 등록 장애인 | 연중 | - | ||
지역지원사업 | 자립 생활 지원단 | 자활근로 인력의 파견으로 일상생활 및 사례관리 지원에 필요한 서비스 제공 | 상담사례지원팀 서비스 이용자 |
1~12월 (월1회) |
- | |
개인별 서비스선정회의 | 개인별서비스 사업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사업들에 대한 지원 결정 | 상담·사례지원팀 서비스 이용자 | 1~12월 (월1회) |
- | ||
건강생활지원 ‘행복까치(같이)’ |
상담 : 지역서비스 대상자(사례, 재가지원 등)에게 각종 복지정보제공, 상담(생활, 건강, 장애 등), 서비스 모니터링 등을 실시하며 다양한 복지혜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 | 지역서비스 대상자 (사례관리, 재가지원 대상 등) |
1~12월 (월1회) |
- | ||
정서지원 : 지역서비스 대상자 중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각종 안부확인(전화/문자, 가정방문 등) 생일축하, 명절지원 등 실시 | ||||||
생활지원 : 각종 후원금품 제공, 방문서비스(이발, 세탁, 건강지원 등)을 실시하며 지역장애인들의 안정적인 일상생활(의식주) 유지를 지원 | 지역서비스 대상자 (사례관리, 재가지원 대상 등) |
1~12월 (월1회) |
- | |||
둘레모임 : 지역 장애인들의 주거지를 기반으로 이웃(동네 이웃, 장애동료 등)을 발굴하여 만남을 가지고 관계 맺기(둘레모임(자조모임) 등)을 지원 | ||||||
장애인식개선사업 | 장애인식 개선교육 |
학교, 기업 등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장애 이해교육, 장애체험교육 등 실시 | 지역주민 | 연중 | - | |
조사연구사업 | 상담사례지원 사업 욕구 및 만족도 조사 | 상담사례지원팀 사업 참여 이용자들의 욕구 및 만족도를 파악 | 상담·사례지원 사업 이용자 | 10~11월 중 | - | |
복지관 이용자 전수조사 | 복지관 등록 후 이용을 하지 않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복지관 종결 이후 재이용 등 파악 | 복지관 등록 장애인 | 연중 | - | ||
비대면 서비스 | 콧바람 나들이‘코코팜’ |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 등 재난안전 발생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사례관리 장애인 및 복지관 이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소그룹 비대면 서비스 제공 | 복지관 이용 장애인 및 사례관리 대상자 | 1~6월 | - | |
‘사장복 사랑의 릴레이’ |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보고싶은 이용자에게 영상 전달 릴레이 | 본 기관 이용자 | 연중 | - |
본 웹 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
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,
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